* journal의 출판 흐름의 실물 발행에서 온라인 발행으로 변화됨에 따라, 아래와 같은 부실의심 학술지가 증가하는 추세
- 위조 학술지(Hijacked journal) : 일반 학술지(Authentic journal)와 유사한 이름을 사용하여 연구자에게 혼동을 주는 학술지
- 약탈적 학술지(Predatory journals) : APC를 지불하면 1) 무조건 게재해주거나 2) peer-review 과정을 거치지 않거나 간소화하는 등 출판 윤리를 어기는 학술지
- 대량발행 학술지 : SCI나 Scopus 등에 등재되어 있으며, 한 호를 발행할 때마다 대량으로 발행하여 출판 윤리를 어기는 학술지 (MDPI / Frontiers 출판 journal - 자가인용 多 + peer-review 간소화)
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University repository -- Consortical support journal 外
APC를 지불하는 형태의 Individual journal 또는 Special issue 투고 시 주의 필요
특징 | 상세설명 |
---|---|
동료심사 | 동료심사가 없거나 형식적 |
마케팅 | 이메일, 홈페에지, IF 등 공격적 마케팅 |
운영정보 | 편집부 및 심사자의 불투명한 공개 |
학술지 학문 범위 | 다양한 학문 분야 |
비용처리 | 사전 고지되지 않고, 이메일을 통해 알게되는 경우 多 |
PubMed에 등재돼있는 journal 또한 약탈적 학술지일 수 있으니 투고 전 확인 필요
1) 부실 학술지 자체 체크리스트 : Think. Check. Submit. Checklist
2) 부실 학술지 목록 : Beal's List, Predatory journals
3) 한국연구재단 건전학술활동지원시스템 : 부실 학술행사 검색
Talley NJ, Barbour V, Lapeña JFF, et al. The rise and rise of predatory journals and the risks to clinical practice, health and careers: the APAME 2024 Sydney declaration on predatory or pseudo journals and publishers. Med J Aust. 2024 Sep 2;221(5):248-250. doi: 10.5694/mja2.52410. PMID: 39217600.
한국연구재단, 부실학술활동 가이드 안내, 2018.10.04., https://www.nrf.re.kr/cms/board/general/view?menu_no=53&nts_no=108850
1) The rise and rise of predatory journals and the risks to clinical practice, health and careers: the APAME 2024 Sydney declaration on predatory or pseudo journals and publishers
2) 부실학술활동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
3) 약탈적 학술지와 학회 예방 가이드(요약)
4) 약탈적 학술지와 학회 예방 가이드(전문)